안녕하세요 일상의 꿀팁을 전달하는 N 네이봉 입니다.
운송업을 하시는 분들에게는 유류비가 부담될 수 밖에 없습니다. 개인으로 운송업을 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정부에서 일정 유류비를 화물복지카드를 통해서 지원하고 있는데요. 5분만 이 글을 읽는데 투자하신다면 화물복지카드 신청방법, 사용처, 종류 등 궁금하신 부분을 한번에 알아가실 수 있습니다.
화물복지카드 신청 바로가기
☑️ 아래에서는 화물복지카드 신청방법, 사용처 등 다양한 정보를 알아가실 수 있습니다.
화물복지카드란?
화물복지카드란 유류세 인상으로 부담을 느끼는 화물운송사업자에게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 교통부에서 제공하는 보조금 입니다. 보조금은 화물복지카드 사용처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유가보조금 지급 대상은 노란색 번호판을 소유하고 있는 영업용 차량을 대상으로 하며 덤프형, 일반형, 벤형, 특수용도형, 특수작업형 차량이 이에 속합니다. 경유 및 LPG 연료를 이용해야 하며 최근에는 택시에도 유가보조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유가보조금은 차량의 톤 단위로 월 지급하는 한도가 제한되어 있다는점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유가보조금은 보통 3톤 차량 기준 35만원, 12톤 이하는 120만원, 1톤 차량은 24만원이 지급되고 있습니다.
화물복지카드 종류
화물복지카드는 현재 신용카드, 체크카드 등의 형태로 발급이 가능합니다. 대신 지정된 카드 협약사에서 발급을 받아야 하며 카드의 종류는 다양하며 주유 차량에 RFID 태그가 내장되어 있는 카드도 있습니다.
화물복지카드를 발급하는 협약사는 현재 삼성, 우리, 국민, 현대, 신한 이렇게 5개의 카드사로 지정되어 있으며 연회비가 없어서 편하게 발급받으면 됩니다.
☑️ 각 카드사별 혜택이 궁금하시다면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화물복지카드 신청방법
화물복지카드는 협약된 카드사별로 차량 한대당 한장의 화물복지카드를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카드사별로 발급자의 신용도 및 실적에 따라 발급 여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단, 화물복지카드 신청시 용달, 일반 운전자로 개인사업자 등록증을 보유하고 있어야 가능하니 반드시 영업용 용도로 차량등록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 화물복지카드 신청 방법은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유가보조금 지급 대상 차량인지 확인 후 영업용으로 차량 등록
2. 화물운송허가증, 사업자등록증 사본, 신분증, 차량 등록증 사본 준비 후 은행에 방문하여 카드 신청
(온라인 신청은 아래 참고)

3. 카드 발급 후 화물통합관리 어플을 통해서 유가보조금을 편하게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화물통합관리 어플은 아래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화물복지카드 사용방법
그럼 화물복지카드는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요? 먼저 사용방법을 알아보기 전 유가보조금 지원한도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차량 톤 | 월 환급 최대 주유량 (L) | 월 환급 최대액 (원) |
1톤 이하 | 683 | 236,004 |
3톤 이하 | 1014 | 350,378 |
5톤 이하 | 1547 | 534,550 |
8톤 이하 | 2200 | 760,188 |
10톤 이하 | 2700 | 932,958 |
12톤 이하 | 3509 | 1,212,500 |
12톤 초과 | 4308 | 1,488,586 |
- 화물차 차주가 체크카드, 신용카드로 유류비 결제
- 한도관리시스템을 통해서 유류구매 거래내역 확인
- 신용카드사는 유가보조금을 제외한 금액을 카드결제대금으로 산정
- 체크카드 일시 3일 이내 유류비 계좌로 환급
화물복지카드 사용처
화물복지카드는 거의 대부분의 주유소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주요소에 POS기가 설치되어 있다면 가능하니 너무 걱정 안하셔도 마음 편하게 주유하시면 됩니다.
이상으로 화물복지카드 신청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어려운 시기에 좋은 정보가 되셨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당신을 위한 N 네이봉 정보